개요
이번 블로그 포스트에서는 Golang에서 상수를 선언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. Golang에서 변수를 선언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에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이 블로그 포스트에서 소개하는 코드는 다음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상수
상수는 변수와 다르게 설정한 값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. Golang에서 상수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main.go
파일을 생성하고 다음과 같이 수정합니다.
package main
import "fmt"
func main() {
const num int = 10
fmt.Println(num)
}
Golang에서 다음과 같이 const
키워드를 사용하여 상수를 선언합니다.
// const 상수명 타입 = 초기값
const value int = 10
상수는 초기값을 생략할 수 있는 변수와 다르게 항상 초기화를 해야합니다. 그렇지 않으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합니다.
const value int = 10
value = 20 // ERROR
한번 초기화된 상수는 다시 값을 설정할 수 없습니다. 값을 설정하게 되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합니다.
상수의 타입
상수도 변수처럼 타입을 지정하지 않고 생략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상수는 변수와는 다르게 상수를 사용하는 시점에 타입이 결정됩니다.
func main() {
const PI = 3.14
var a int = PI * 100
fmt.Println(a)
}
Golang은 같은 타입만 연산이 가능합니다. 따라서 float
타입인 3.14에 int
타입인 100을 곱하는 연산은 할 수 없습니다. 하지만 상수에 타입을 지정하지 않았으므로, 상수를 사용하는 시점에서 타입이 결정되므로 위에 코드는 컴파일 에러가 발생하지 않습니다.
func main() {
const PI float32 = 3.14
var a int = PI * 100 // ERROR
fmt.Println(a)
}
하지만 위와 같이 상수를 타입과 함께 정의하는 경우, 타입이 다르다고 판단하여 컴파일 에러가 발생하게 됩니다.
func main() {
var PI = 3.14
var a int = PI * 100 // ERROR
fmt.Println(a)
}
변수는 상수와 다르게 변수를 선언할 때, 타입이 결정됩니다. 따라서 위와 같이 상수 대신 변수를 사용하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합니다.
열거형
Golang에서는 상수를 다음과 같이 열거형(Enum)으로 많이 활용합니다.
const (
Red int = 0
Blue int = 1
Green int = 2
)
func main() {
fmt.Println(Red)
fmt.Println(Blue)
fmt.Println(Green)
}
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
0
1
2
iota
Golang에서는 다음과 같이 iota
키워드를 사용하면 좀 더 쉽게 열거형 상수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.
const (
Red int = iota
Blue int = iota
Green int = iota
)
func main() {
fmt.Println(Red)
fmt.Println(Blue)
fmt.Println(Green)
}
반복적으로 사용되는 타입과 iota
는 다음과 같이 생략이 가능합니다.
const (
Red int = iota
Blue
Green
)
또한, 타입도 생략이 가능하여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선언할 수 있습니다.
const (
Red = iota
Blue
Green
)
완료
이것으로 Golang에서 상수를 선언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. 또한 iota
를 활용하여 열거형 상수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살펴보았습니다.
제 블로그가 도움이 되셨나요? 하단의 댓글을 달아주시면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!
앱 홍보
Deku
가 개발한 앱을 한번 사용해보세요.Deku
가 개발한 앱은 Flutter로 개발되었습니다.관심있으신 분들은 앱을 다운로드하여 사용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.